
주식에는 관심이 있는데 언젠가부터 ETF라는 소리가 들려왔다.
Exchange Trade Fund의 줄임말이라나 뭐라나.
더 어려운 말로 “상장 지수 펀드”라고 하드만.
- 펀드(Fund)는 예전에 은행 창구에 가서 적금에 가입하려고 하면 은행 이자보다 낫다고 하면서 은행 직원이 침을 튀기며 권유하던 것이다. 당시 주식 투자가 두렵고 낯선 사람들에게 펀드는 그야말로 효자 상품이었다.
- 그때 나도 모르는 브라질 광산, 구리, 미국 주식과 채권에 투자한다는 말에 솔깃해서 쥐꼬리만한 월급에서 10만 원씩 적금 드는 셈 치고 자동이체로 불입했더니 시간이 지나 적금보다 훨씬 더 많이 돈이 불어나 있었다. (물론 원금을 까먹은 펀드도 있었다, 그때 은행 직원 멱살을 잡는 사람을 몇 명 본 적이 있다.)
- 펀드는 펀드 운용사가 돈이 될만한 주식이나 채권 같은 것을 여러 개 묶어서 하나의 상품으로 만든 것이다. 예를 들어 한화그룹주 펀드라고 하면 한화그룹의 회사들의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다.
- 나처럼 날마다 주가 차트를 보고 있기 싫거나, 재무제표만 보면 머리가 아프면서도 푼돈으로 어디에든 투자는 하고 싶은 사람에게 적당한 것이 바로 펀드다
그런데 이 펀드란 놈은 일단 골라서 투자를 시작하면 그 이후는 내가 마음대로 원하는 때에 사고 팔 수가 없다.
구매할 때는 2-3일 걸리고 팔 떄는 4일 이상 시간이 걸린다. 따라서 재수가 좋은 싸게 사서 비쌀 때 팔 수가 있겠지만 반대의 경우도 생기게 된다.
바로 이 단점을 보완한 것이 ETF다.
ETF는 주식처럼 거래되므로 증권앱에서 주식 사장이 열리는 시간에는 언제나 사고 팔 수 있다. 그리고 펀드의 장점인 리스크 분산을 위한 양방향 투자와 분산 투자가 가능하다. ETF는 주식의 투명성, 거래편의성, 거래비용에서의 장점과 펀드의 장점을 결합한 것이다. 그래서 21세기 최고의 금융상품이라고 말하기도 한다.
펀드와 ETF의 차이점
| 구분 | 펀드 | ETF |
| 거래 방식 | 펀드 운용사(증권사, 은행)에서 가입 후 매수 | 주식처럼 증권 거래소에서 실시간 매매 |
| 매매 가능 시간 | 하루 1번(장 마감 후 가격 결정) | 주식처럼 장중 실시간 가격 변동 |
| 최소 투자 금액 | 최소 1만 원~10만 원 이상 (펀드마다 다름) | 1주 단위로 거래 가능 (주가에 따라 최소 몇 천원 ~수십만 원) |
| 수수료 | 보수가 ETF보다 높음 (보통 연 0.3~1%) | 보수가 저렴함 (보통 연 0.03~0.1%) |
| 배당금 처리 ** | 보통 자동 재투자됨 | 직접 배당금을 받을 수 있음 |
| 운용 방식 | 투자자가 돈을 맡기면 펀드가 알아서 운용 | 투자자가 직접 매매, 원하는 때에 사고팔기 가능 |
** 여기서 배당금은 예를 들어 삼성전자 주식이 포함된 펀드일 경우 배당이 나온 다면 그 배당금을 재투자 하는 것이 펀드고 ETF는 그 배당금을 직접 수령할 수 있다, 따라서 장기적으로 복리효과를 누리고 싶다면 펀드가 낫다.
그런데 ETF가 어렵다고?
운용사가 ETF를 만들때 10개 이상의 종목을 담아야 하고 한 종목에 30% 이상 담을 수 없게 되어 있다.
그렇다 보니 상품이 너무 다양하고 많다. 음식을 예로 들면 짜장면도 먹고 싶고 짬뽕도 먹고 싶어서 짬짜면을 주문했는데 여기에 군만두 하나, 탕수육 두 조각 등 딸려나오는 음식들이 많아지고, 또 이상한 세트 메뉴들도 많아 메뉴판만 보고 한숨을 쉬고 있는 것이다.
하나도 어렵지 않다
ETF는 자산운용사가 상품을 만드는데 상품 이름에 모든 정보가 다 들어가 있다.
우선 ETF의 맨 앞에는 ETF의 브랜드 이름이 들어가 있다.
- KODEX 로 시작 - 삼성자산운용의 브랜드
- PLUS 로 시작 - 한화자산운용의 브랜드
- TIGER 로 시작 - 미래에셋자산운용
- ACE 로 시작 - 한국투자신탁운용
- SOL 로 시작 - 신한자산운
- RISE 로 시작 - KB자산운용
- HANARO 로 시작 - NH자산운용
- UNICORN 로 시작 - 현대자산운용 등등
두번째로 KODEX 200이라 하면 삼성자산운용에서 만든 ETF로 주식 종목 200개를 담고 있다는 뜻이다. 25년 2월 1일 현재 종가가 33,445원 인데 내가 3만 원정도를 투자해서 이 ETF 한 주를 사면 우리나라 주식 200개를 산 것과 마찬가지이다.
물론 33,445원은 삼성전자 한 주도 살 수 없는 돈이지만 ETF는 가능하다. 이 ETF를 사면 삼성전자 0.00x 주 정도의 주식을 사는 셈이다.
세번째로 레버리지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ETF는 주가지수를 기초로 해서 주가지수가 1% 오르면 2%의 수익이 나고 만약 지수가 -1% 떨어지면 수익은 -2%로 떨어지는 것이다. KODEX 레버리지는 KOSPI 200 지수의 2배로 움직이는 ETF라서, 지수가 오르면 더 많이 오르고, 내리면 더 크게 내려가는 구조이다. 돈 놓고 돈 먹기.
아무튼 지금까지 돈이 없어서 SK하이닉스 혹은 삼성 바이오 주식을 한 주도 사지 못했는데 이제 알았으니까 내일부터 술 끊고 그 돈으로 ETF나 사 모아야 겠다.
참고로 25년 2월 1일 현재 ETF의 TOP 10 은 다음과 같다. (시가 총액 기준)
| 종목명 | 시가총액(억) | 종가(원) | 1개월 수익률 | |
| 1 | KODEX 200 | 56,873 | 33,445 | 4.66 |
| 2 | KODEX 레버리지 | 23,767 | 15,095 | 8.48 |
| 3 | KODEX 200TR | 23,695 | 11,780 | 4.71 |
| 4 | TIGER MSCI Korea TR | 20,593 | 14,105 | 4.79 |
| 5 | TIGER 200 | 19,013 | 33,385 | 4.69 |
| 6 |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| 17,508 | 7,890 | 18.47 |
| 7 | KODEX 코스닥150 | 12,832 | 12,315 | 9.22 |
| 8 | RISE 200 | 10,845 | 33,680 | 4.65 |
| 9 | KODEX 삼성그룹 | 10,360 | 8,275 | 2.35 |
| 10 | KODEX 2차전지산업 | 9,251 | 12,725 | 4.26 |
-끝-
'금융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ISA 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 절세와 투자,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방법! (3) | 2025.02.10 |
|---|